# 생활 정보

연금저축 vs IRP퇴직연금 차이와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이중과세논란

나는 VIP 2025. 2. 10. 15:36
728x90
반응형

 
 


 
 

 
 

 

1. 연금저축과 IRP 퇴직연금의 기본 개념

연금저축이란?
연금저축은 개인이 자율적으로 가입하는 노후 대비 금융상품으로, 국가가 세제 혜택을 제공하여 노후 자금을 마련하도록 유도하는 제도입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이란?
individual retirement penson의 약자로 세제 혜택이 큰 연금계좌입니다.
 
 

2. 연금저축과 IRP 퇴직연금 차이점

구분연금저축IRP(개인형 퇴직연금)비고
가입 대상누구나 가입 가능소득이 있거나 퇴직급여를 수령하는 사람 
세액공제한도연 600만원연 900만원연금+IRP 합쳐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율총급여 5,500만원 이하 16.5% 세액공제율 적용
총급여 5,500만원 초과 13.2% 세액공제율 적용
 
연금수령조건만 55세 이상, 가입기간 5년이상, 가입 후 최소 10년 후 수령 
운용 상품연금펀드, ETF 등 연금펀드, ETF, 예금, 채권 등 
투자 한도100%70% 
중도 인출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은 인출 가능중도해지 가능사유에 해당 시 인출 가능 
담보 대출가능불가능 

 

연금저축의 장단점

장점

유동성이 높음 → 필요할 경우 중도 인출 가능 (단, 기타 소득세 16.5% 부과)
가입이 간편함 → 소득이 있는 개인 누구나 가입 가능
운용 방식이 단순 →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신탁 중 선택 가능

단점

세액공제 한도가 낮음 → 최대 600만 원까지만 공제 가능
투자 상품 선택 폭이 제한적 → IRP보다 다양한 자산운용이 어려움
 

IRP 퇴직연금의 장단점

장점

세액공제 한도가 큼 → 연금저축 포함하여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퇴직금 운용 가능 → 기존 퇴직연금과 함께 관리 가능
과세이연  →  IRP에 입금한 자금은 퇴직소득세를 미루게 되어 현재의 세금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55세 이상, 70세 미만 세율 5.5%
70세 이상, 80세 미만 세율 4.4%
80세 이상 세율 3.3%
투자 상품 선택 폭이 넓음 → 펀드, ETF, 채권, 예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 운용 가능

단점

중도 인출 불가 → 원칙적으로 퇴직 전에는 해지하거나 돈을 뺄 수 없음
세액공제받은 금액과 운용수익에 대해 16.5%의 기타 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운용 방식이 복잡할 수 있음 → 투자 상품을 직접 선택해야 하므로 관리가 필요
 

 
 

연금저축 해외펀드 배당 이중과세 논란

개편된 세제 방식

  • 미국에서 원천징수 15%
  • 국세청이 펀드 운용사에 환급하지 않음
  • 투자자가 배당소득세 납부
  • 연금 수령 시 연금 소득세 납부

요약: 미국에서 발생된 배당금에 대해 미국정부가 과세했던 15% 세금을 국가에서 보전하지 않는 것으로 제도가 변경되었습니다.

 

연금계좌 중 해외 ETF 배당에만 해당되며, 국내 ETF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원자재 수익 ⭕
채권 수익 ⭕
국내 ETF 배당 ⭕ 수익 ⭕
해외 ETF 배당 ❌ 수익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