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목차
1. 자율주행에서 사용되는 센서의 정의
카메라 (Camera)
- 정의: 시각 정보를 수집하는 이미지 센서로, 인간의 눈과 비슷하게 작동하며 색상과 텍스처를 포함한 고해상도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 사용 목적: 도로 표지판, 차선, 보행자 및 차량 식별
- 작동원리: 가시광으로 물체를 인식해 차선, 표지판, 신호등 등 판독
레이더 (Radar)
- 정의: 전자기파를 방출하고 물체에 반사된 신호를 측정하여 물체의 거리와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 사용 목적: 차량의 속도 측정과 장애물 거리 계산
- 작동원리: 전자파 발사 후 돌아오는 전파 시간과 주파수 측정
라이다 (LiDAR)
- 정의: 레이저 빛을 발사하고 반사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차량 주변의 3D 환경 지도를 생성하는 센서
- 사용 목적: 정확한 거리 측정과 공간 매핑
- 작동원리: 고출력 펄스 레이저로 거리 정보 획득
2.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의 장단점 비교
기능 | 카메라 | 레이더 | 라이다 |
장점 | - 저비용, 높은 해상도 - 색상, 텍스처 인식 가능 |
- 200m 수준의 긴 유효 감지 거리 - 모든 날씨 조건에서 작동 가능 |
- 정확한 거리 측정 - 실시간 3D 데이터 제공 |
단점 | - 거리 측정 정확도 낮음 - 날씨에 민감 |
- 해상도 낮음 - 주변 차량 주행속도 감지 성능 낮음 |
- 높은 비용 - 기후 조건에 취약 |
기술적 한계 | - 어두운 환경에서 성능 저하 | - 정밀한 물체 식별 어려움 | - 복잡한 구조와 유지 비용 |
3. 주요 자율주행 기업과 센서 기술 채택
기업 | 센서 전략 | 적용기술 |
테슬라 (Tesla) | 카메라 + 레이더(기존), 카메라 중심으로 전환 | Vision 기반 자율주행 (Tesla Vision) |
웨이모 (Waymo) | 라이다 + 카메라 + 레이더 | 자체 라이다 기술 (Waymo Driver) |
크루즈 (Cruise) | 라이다 + 카메라 + 레이더 | GM의 자율주행 차량 |
모빌아이 (Mobileye) | 카메라 중심 + 레이더 | EyeQ 칩셋과 카메라 기반 기술 |
아우디 (Audi) | 라이다 + 카메라 + 레이더 | zFAS 시스템 사용 |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는 자율주행 차량의 핵심 기술이지만 각 센서마다 장단점이 다릅니다. 주요 기업들은 기술적 장점을 조합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센서 비용과 성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