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 정보

중국여행시 인스타그램, 유튜브, 구글, 네이버, 카카오톡, 넷플릭스 등 사용제한 리스트 알아보자

나는 VIP 2024. 11. 19. 09:53
728x90
반응형

 

 


 

 

 

중국 정부는 인터넷 검열 정책인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을 통해 여러 외국의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중국에서 차단된 주요 플랫폼과 서비스들입니다.

 

1. 소셜 미디어 플랫폼

  • 페이스북(Facebook)
    중국은 2009년부터 페이스북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이는 신장 지역에서 발생한 폭동 이후 정보 유통을 통제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 트위터(Twitter)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트위터는 중국의 검열 정책과 맞지 않아 차단되었습니다.
  • 인스타그램(Instagram)
    홍콩 시위와 같은 민감한 주제를 다룰 때 정보 확산을 막기 위해 차단되었습니다.
  • 유튜브(YouTube)
    정부의 통제를 벗어난 영상 콘텐츠가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되었습니다.
  • 레딧(Reddit)
    자유로운 토론과 정보 공유를 특징으로 하는 이 플랫폼 역시 차단 대상입니다.

 

2. 검색 엔진

  • 구글(Google)
    2010년, 중국과의 데이터 검열 문제로 갈등이 생긴 후 구글은 차단되었습니다.
    구글 서비스 중 Gmail, Google Maps, Google Drive 등도 모두 차단 대상입니다.
  • 위키피디아(Wikipedia)
    특정 언어 버전뿐만 아니라, 전체 플랫폼이 차단되었습니다. 정부에 민감한 역사적, 정치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3. 메신저 및 통신 서비스

  • 왓츠앱(WhatsApp)
    메시지가 암호화되어 검열이 어려운 점 때문에 차단되었습니다.
  • 라인(LINE)
    카카오톡과 마찬가지로, 한국 메신저 서비스인 라인도 차단 대상입니다.
  • 텔레그램(Telegram)
    암호화 기술과 익명성을 강조하는 서비스라서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기 쉽다는 이유로 차단되었습니다.

 

4. 스트리밍 및 엔터테인먼트

  • 넷플릭스(Netflix)
    중국의 방송 검열 정책과 맞지 않아 서비스되지 않습니다.
  • 트위치(Twitch)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이지만,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해 차단되었습니다.
  • 스포티파이(Spotify)
    외국 음악과 팟캐스트가 포함된 콘텐츠가 검열되지 않아 차단되었습니다.

 

5. 클라우드 및 협업 도구

  • 드롭박스(Dropbox)
    데이터가 중국 외부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차단되었습니다.
  • 슬랙(Slack)
    팀 협업 도구로, 정부 감시를 우회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차단되었습니다.

 

6. 기타 차단 서비스

  •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BBC 같은 해외 언론 사이트
    중국 정부를 비판하거나 민감한 주제를 다루는 해외 언론은 모두 차단 대상입니다.
  • Medium
    개인 블로거들이 자유롭게 글을 올리는 플랫폼으로, 검열이 어렵기 때문에 차단되었습니다.

 

주의사항

중국에서는 VPN(가상사설망)을 사용하여 차단된 사이트나 서비스를 우회할 수 있지만, VPN 자체도 불법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VPN 사용자를 추적하거나 제재를 가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